표 1 주요 선행연구의 결과 요약

주요 선행연구 요약
도시 공급현황과 제도개선 연구 유해연·심우갑 (2010) • 서울시 단지형 다세대주택 중 사업승인을 득한 4개의 사례의 계획적 특성을 분석• 도시형생활주택의 양적완화에 따른 문제점 지적과 주거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우선 필요하다고 주장
박진아 외 (2012) • 서울의 도시형생활주택 분양가격과 수익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과 PLS 분석을 통해 실증• 선형회귀분석에서는 주변 주택가격과 역세권 변수가 유의, 수익률 분석에서는 주변 주택가격과 역세권, 주변 편의시설이 유의
이재수·성수연 (2013) •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공급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공급효과 평가• 소형주택의 공급 활성화에 기여했으나, 1·2인 가구 소득 대비 주거비 부담이 높고, 기존 주거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
이재수 외 (2014) •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공급, 주거비 부담, 주거 만족도 분석• 도시형생활주택 거주민은 높은 주거비 부담을 느끼고, 내부환경과 편의시설 접근성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 선호 및 만족도 연구 오주영 외 (2013) • 금천구의 소형주택 임차인과 임대인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 입지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임대인은 역세권, 임차인은 학교 및 직장과의 거리)
노영학 (2014) • 도시형생활주택 수요자들의 주거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물리적 요인은 방 크기, 환경적 요인은 접근성과 대중교통 편리성, 경제적 요인은 월임대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침
도시형생활주택 가격 및 임대료 결정 연구 김호준 외 (2012) • 서울시의 일반주택과 도시형생활주택의 가격결정 요인 비교• 일반 주택가격은 가족단위의 특성요소가 중요한 변수인 반면, 도시형생활주택은 1인 가구, 지하철 거리, 대학까지 거리 등 다른 요인이 중요
박학목 ( 2013) • 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상 구분되는 공간구조에 따른 도시형생활주택 가격 요인 규명• 공간구조상 3핵 지역은 대규모 사업체, 3부핵 지역은 문화·복지시설, 13거점 지역은 전용면적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
최열·김상섭 (2014) •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들이 보증금과 월세에 대한 객관적 및 주관적 측면에서 적설성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들은 주차장, 안정성 등 주택 외부 특성에 만족도가 높을 때 임대료가 적절하다고 판단
이동현 외 (2015) •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의 임대료를 수준별 하위시장으로 구분하고, 개별적·입지적 특성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대료 결정의 주요 요인은 개별특성이고, 입지특성은 교통편리성과 용도지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
박명식·심재연 (2015) • 서울시의 도시형생활주택 가격영향 요인의 관계구조를 분석• 주택규모, 주변환경, 문화복지, 교통입지 등은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교통입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Won and Lee (2018) •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임대료에 미치는 요인 분석• 도시형생활주택의 임대료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나타나고, 근린환경 변수가 임대료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