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울산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울산아파트 전세가격지수, 울산미분양, 회사채수익률, 울산 인구수, 전국 조선업황지수, 울산 현재생활형편지수, 울산 실업률의 공적분 검정 결과 분석
공적분수 | 특성근 (eigenvalue) | 통계량 | p값 |
0 | 0.493 | 252.375** | 0.000 |
1 | 0.376 | 174.173** | 0.000 |
2 | 0.262 | 119.884** | 0.000 |
3 | 0.222 | 84.878** | 0.002 |
4 | 0.198 | 55.925** | 0.007 |
5 | 0.131 | 30.412* | 0.042 |
6 | 0.104 | 14.213 | 0.077 |
7 | 0.013 | 1.561 | 0.211 |
주 1) 귀무가설(H_0)은 r(공적분수)이고, 대립가설(H_A)은 r+1이다.
2) **는 1%, *는 5% 내에서 귀무가설이 기각됨을 의미한다.
3) AIC 정보기준으로 적정 시차(lag)는 1을 사용하였다.
4) MacKinnon, Haug, and Michelis(1998)의 p값을 사용하였다(통계프로그램인 EViews9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