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패널 선형회귀모형 추정결과

종속변수: log(hasset) 전체 표본 조사기간 내 증여 경험 있는 가구 제외
확률효과 고정효과 확률효과 고정효과
상속동기 (b e q ) 0.472*** (0.038) 0.281*** (0.031) 0.404*** (0.035) 0.231*** (0.028)
배우자 유무 (spouse) 0.821*** (0.121) 0.463*** (0.179) 0.788*** (0.128) 0.414** (0.185)
남성 (male) 0.496*** (0.129) Omitted 0.532*** (0.134) Omitted
지역: 기타 광역시 (region2) -0.550*** (0.125) -0.063 (0.498) -0.538*** (0.142) -0.178 (0.545)
지역: 기타 시도 (region3) -0.805*** (0.124) -0.456 (0.405) -0.814*** (0.142) -0.556 (0.457)
연령 (age) 0.291*** (0.049) 0.290*** (0.063) 0.231*** (0.046) 0.216*** (0.059)
연령 제곱 (age2) -0.002*** (0.000) -0.002*** (0.000) -0.002*** (0.000) -0.002*** (0.000)
생존 자녀 수 (numch) -0.008 (0.041) 0.164 (0.164) -0.007 (0.043) 0.110 (0.157)
가구소득 로그값 ln (h in come) 0.223*** (0.038) 0.091** (0.042) 0.216*** (0.039) 0.101** (0.042)
H0: var(ui)=0 검정통계량(p값) 7,752.65*** (0.000) 8,063.92*** (0.000)
H0: all ui=0 검정통계량(p값) 8.31*** (0.000) 9.41*** (0.000)
ρ=corr (yit, yit-1) 0.707 0.709
연도 고정효과 (year dummies) 포함됨 포함됨 포함됨 포함됨
N 16,363 16,363 15,533 15,533
주 : 1) 은 10%,
5%,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함.
2) 오차항 이분산성을 고려하여 robust standard error를 제시함.
3) 전체 표본의 확률효과와 고정효과 모형에 대한 하우스만 검정결과는 5%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