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혁주 외 (2013) | 전국 (2012) | 리츠 관계 실무자 (46명) | 브레인스토밍 AHP | ・ 자기관리리츠는 자산 개별성에 의한 투자의사 결정・ 부동산 입지, 시장환경, 수익성, 가격 중시 성향 | ◒ |
송동원·최민섭 (2014) | 수도권 (2013) | 리츠 관계 실무자 (100명) | AHP 구조방정식 | ・ 개발전문리츠 입지, 금리, 신용도가 투자지배력 강화・ 부동산, 금융시장, 자본구조 ⇒ 수익·위험 ⇒ 투자의사 | ○ |
윤광호 (2017) | 전국 (2016) | 일반인·전문가 (400명) | 설문조사 구조방정식 | ・ 공공리츠 속성 중 경제, 교육·사회복지, 문화가 유의・ 선택속성 ⇒ 선호도(매개) ⇒ 투자의향의 인과관계 경로 | ◔ |
김준완·김종진 (2018) | 전국 (2015) | 리츠 관계 실무자 (32명) | 브레인스토밍 Fuzzy-AHP | ・ 대토보상 신청, 개발리츠 인가의 초기 위험관리 중요・ 사업유인 부족, 주주 의견상충, 국민인식 저하 해소 | ◔ |
이수정·김호철 (2021) | 전국 (2021) | 리츠 관계 실무자 (80명) | FGI AHP | ・ 민간임대리츠 수익은 정책, 지역, 개별, 거시경제 순・ 사업안정 확보로 토지위치, 주변환경 변화가 상위권 | ● |
장윤석 (2022) | 전국 (2021) | 리츠 관계 실무자 (20명) | FGI AHP | ・ 공공리츠 상장은 세제혜택, 규모확대, 규제개선 중대・ 지방세 감면, 모자리츠 확대, 매출액 기준완화 바람직 | ◔ |
이창중 외 (2022) | 전국 (2021) | 도시재생 전문가 (108명) | Delphi AHP | ・ 토지, 입지, 리츠, 지자체 참여가 재생사업 성공요인・ 민관합동방식인 리츠 자본투자구조가 효율적 수단 | ◔ |
강명기 (2024) | 전국 (2023) | 리츠 관계 실무자 (80명) | AHP 민감도분석 | ・ 공공지원리츠는 분양, 토지, 건축, 공급자가 고평가・ 금융·세제보다 용적률, 도급비에 임대가 변동 민감 | ○ |
전태욱·김호철 (2024) | 전국 (N/A) | 리츠 관계 실무자 (110명) | AHP | ・ 경기, 금리, 입지, 수익, 전문인력이 투자 영향 지대・ 리츠, 금융기관·개인 등 그룹별 투자요소 달리 인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