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기초통계량(N=21,204)

평균, 비율 표준편차
자가 0.46 0.50
아파트 0.68 0.47
자녀 유 0.23 0.42
맞벌이 유 0.41 0.49
무자녀 맞벌이 유 0.13 0.34
남성 0.40 0.49
연령 34.26 3.68
최종학력 고졸 이하 0.24 0.43
전문대졸 0.27 0.44
4년제졸 0.43 0.50
대학원졸 0.06 0.23
취업 0.67 0.47
종사상지위 상용직 0.54 0.50
임시일용직 0.05 0.21
비임금근로자 0.09 0.28
미취업 0.33 0.47
기업체규모 소기업 0.30 0.46
중기업 0.11 0.31
대기업 0.26 0.44
미취업 0.33 0.47
응답자 월평균 소득 미취업 200만 원 미만 0.11 0.32
200~300만 원 미만 0.22 0.41
300만 원 이상 0.33 0.47
미취업 0.34 0.47
배우자 직업 유 0.68 0.47
배우자 종사상 지위 상용직 0.53 0.50
임시일용직 0.03 0.17
비임근근로 0.12 0.32
미취업 0.32 0.47
배우자 소득 200만 원 미만 0.08 0.27
200~300만 원 미만 0.22 0.42
300~400만 원 미만 0.22 0.41
400만 원 이상 0.15 0.36
배우자 미취업 0.33 0.47
연간 가구실질소득(로그값) 3.35 1.15
가구원 수 2명 0.22 0.41
3명 0.34 0.47
4명 0.34 0.47
5명 이상 0.11 0.31
거주지역 수도권 0.51 0.50
중부권 0.12 0.33
호남권 0.11 0.31
영남권 0.26 0.44
연도 2012년 0.07 0.25
2013년 0.08 0.27
2014년 0.09 0.28
2015년 0.10 0.30
2016년 0.11 0.32
2017년 0.12 0.33
2018년 0.13 0.34
2019년 0.14 0.35
2020년 0.16 0.36
주 : 1) 소기업은 50인 미만, 중기업은 50~299인, 대기업은 300인 이상임(이하 표에서는 생략).
2)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은 수치임(이하 표에서는 생략).
자료 : 청년패널조사(YP2007) 자료,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