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 | 학교시설 복합화 | 학습 강화 | - 학교고유의 교육환경 개선- 지역주민 평생교육 제공 | Steven et al.(2003), Connie(2005), 유원창(2007), 오병욱 외(2009), Kevin(2010), 오형석(2015), Green(2015) | 리커트 5점 척도 |
공공 서비스 | - 교육·문화·체육·복지 등 공공서비스-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 | 한동효 외(2009), 강성철 외(2012), 문종덕 외(2013), 김호철(2017), 여관현(2017) |
공동체 형성 | - 지역공동체 회복 | Steven et al.(2003), Kevin (2010), Connie(2005), Green(2015), 장용일·김창성(2016) |
안전 공간 | -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 돌봄서비스 제공- 학생과 지역주민 등을 위한 안전한 공간 구성 | Steven et al.(2003), 목정훈(2007), 이일희·이주형(2011), 장용일·김창성(2016) |
독립 | 도시재생 관계자 특성 | 역량 | -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전문성- 학교시설 복합화사업에 대한 전문성 | 김호철(2017) |
태도 | -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의 중요성 인지수준-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 추진 의지 | 한동효 외(2009), 강성철 외(2012), 여관현(2017) |
매개 | 실행 | 참여 | -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 다양한 관계자들의 참여 | Sanoff(2001), Steven et al.(2003), Kevin(2010), Taylor et al.(2013), Timothy et al.(2015), 장용일·김창성(2016), 김호철(2017), 여관현(2017), Janaina et al.(2018), 田崎智之 et al.(2018) |
계획 수립 | - 학교시설 복합화 사업 관련 기관 및 인적자원 네트워크 | Steven et al.(2003), 목정훈(2007), Green(2015), 장용일·김창성(2016), 이찬호(2016), 김호철(2017) |
재정 | - 재정지원- 지속가능한 재정구조 | 김호철(2017), 이일희·이주형(2011), 장용일·김창성(2016), Falanga(2019) |
협력 | - 민관 등 관계자 간 다양한 협력체계 | Connie(2005), Timothy et al.(2015), 이정목 외(2016), 김호철(2017), Falanga(2019), Janaina et al.(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