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국내 부동산 분야 비선형 머신러닝 관련 연구

논문명 저자 예측 성능 비교
기계 학습을 이용한 공동주택 가격 추정: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배성완·유정석 (2018) 구분 MAE RMSE
MRA 121.778 177.385
SVM 112.342 160.312
RF 108.033 153.806
GBRT 102.925 148.996
DNN 113.022 160.723
A house price valuation based on the random forest approach: The mass appraisal of residential property in South Korea Hong et al. (2020) 구분 R-squared
OLS 0.726056
RF 0.976198
트리 기반 앙상블 방법을 활용한 자동 평가 모형 개발 및 평가: 서울특별시 주거용 아파트를 사례로 김인호·이경섭 (2020) 구분 R-squared
OLS 0.427
RF 0.940
XGBoost 0.959
LightGBM 0.958
Stacked(XG) 0.959
Stacked(LGBM) 0.931
머신러닝을 이용한 부동산 지수 예측 모델 비교 이주미 외 (2021) 구분 RMSE
RF 0.1299
XGBoost 0.1236
LSTM 0.0978
기계학습 방법론을 활용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연구 김이환 외 (2022) 구분 R-squared RMSE MAPE
헤도닉 0.848 0.167 12.852
인공신경망 0.937 0.107 7.763
RF 0.996 0.066 4.432
기계학습과 XAI를 활용한 아파트 가격과 지역 특성과의 관계 분석 양건필·전해정 (2022) 구분 MAE MAPE RMSE
OLS 1.997 29.936 3.126
XGBoost 1.994 28.646 3.194
RF 1.854 28.440 2.970
머신러닝과 패널고정효과를 활용한 아파트 실거래가 예측 김승현 외 (2022) 구분 MAE MAPE RMSE
FE 2,487.82 4.7934 13,262.35
RF 2,788.53 3.7794 9,329.08
MARS 853.37 1.3443 5,064.80
주 : MR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VM, support vector machine; RF, random forest; GBRT, gradient boosted regression tree; DNN, deep neural network; OLS, ordinary least squares; FE, fixed effects model; MAE, mean absolute error;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